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약대 정시모집
- 2025 정시
- 입시결과
- 2025 수시
- 70%컷
- 약대 논술
- 약대 수능최저기준
- 학업우수형
- 약대 모집인원
- 약대 반영비율
- 최저기준충족
- 대교협 발표
- 전형별 모집인원
- 2024약대
- 2025 모집인원
- 약대 수시모집
- 2025 대입
- 약대 학생부종합
- 약대 학생부교과
- 정시모집군
- 약대변경사항
- 계열적합형
- 약대 지역인재
- 2025 논술
- 학교추천
- 대입시행계획
- 약대 변경사항
- 2025 대교협
- 잔향뱔
- 2024 약대
- Today
- Total
목록2024대입 이야기 (13)
장문성의 입시이야기

수시모집 전형의 변화 우선 가장 큰 변화는 고려대(세종)입니다. 고려대(세종)은 학생부교과전형을 폐지하고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일반과 지역인재를 모두 선발합니다. 충남대는 기존의 PRISM전형을 종합(일반)으로 변경하고 종합(서류)를 신설하였으나 서류100%로 선발하는 약학과 인원은 겨우 2명입니다. 이렇게 전형을 여러 개로 쪼개다 보니 모집인원이 너무 적어져서 합격선을 예측하기가 더 어려워졌습니다. 계명대는 약학과와 제약학과로 구분해서 모집하던 것을 약학부로 통합하여 모집합니다. 정시모집에서는 제약학과 가군, 약학과 다군이었는데, 통합하여 다군에서 선발하게 됩니다. 충남대와는 달리 전형별 모집인원이 많아졌습니다. 수시모집 수능최저기준의 변화 약대 수시모집에서 수능최저기준은 합격선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

수시모집 전형의 변화 가장 큰 변화는 차의과학대로 학생부종합전형을 폐지하고 기존의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인원을 분산하여 선발합니다. 이화여대는 논술전형에 약대를 신설하였으며 수능최저기준은 미래인재전형과 같은 4합5(1)이 적용됩니다. 동덕여대는 학생부종합전형인 동덕창의리더전형으로 8명을 모집하는데 학종이지만 국수과(1)합6의 수능최저기준을 적용합니다. 수시모집 수능최저기준의 변화 약대 수시모집에서 수능최저기준은 합격선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됩니다. 아래에 수능최저기준의 변화만 정리했습니다. 2023학년도에 발표된 입시결과를 보면 3합7이나 3합8의 수능최저기준은 영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야 하지만 3합6이나 3합5 정도여도지역에 따라서는 영향력을 행사하는 대학도 있으니 수능최저기준의 변화는 ..

표로 알아보는 전형별 모집인원 2024학년도에 전국 37개 약대에서는 수시모집으로 1,007명(57.7%), 정시모집으로 738명(42.3%)을 모집한다. 2022학년도에 학부 모집을 시작했을 때 수시모집은 960명(55.1%), 정시모집은 783명(44.9%)을 뽑았던 것과 비교하면 정시모집 비율이 감소한 것입니다. 수시모집을 세분화해서 들여다 보면 학생부종합전형 403명(23.1%), 학생부교과전형 523명(30.0%), 논술전형 81명(4.6%)을 선발합니다. 각각의 전형으로 비교하면 정시모집의 선발 비율은 여전히 높은 편입니다. 더구나 수시모집에서 뽑지 못한 인원을 이월시키면 정시 모집인원은 조금 더 많아지게 됩니다. 의치한약수 분야를 지원하고 싶다면 수능을 포기하는 것보다 정시모집까지 최선을..

단과대학별 입시결과 고려대가 발표하는 입시결과 중에 단과대별 입시결과가 있습니다. 일부는 1개 모집단위만 있는 경우도 있지만 문과대학이나 정경대학, 공과대학, 이과대학 등은 여러 학과들의 통합 결과이기 때문에 대략적인 수준 파악에 도움되는 정보입니다. 위의 자료 중 평균등급은 어제 발표된 고려대 설명회 자료에서 정리한 것입니다. 고려대가 입학설명회에서 공개하는 단과대학별 평균등급 그래프로는 최고값과 최저값의 범위를 알 수 있고 전체 합격자 중에서 25%~75%가 분포하는 범위는 사각형의 박스로 표시해 주어서 어느 정도 범위가 되어야 합격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박스 안에 선은 중간값이고, 다이아몬드기호는 평균값을 의미한다고 설명을 했다. 고려대 수시모집은 최근 3년간 수능최저기준의 변화를 주고 ..

2023학년도와 2024학년도의 전형별 인원은 일반전형과 지역인재전형으로 구분하였습니다. 강원대는 2023학년도에 선발했던 정시모집 지역인재를 폐지하고 학생부종합 서류형을 신설하여 4명을 선발합니다. 수능 일반전형은 2명이 감소했고, 교과 일반전형도 3명 감소했습니다. 대신 교과 지역은 4명이 증가하였으며 전형별로는 가장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경북대도 논술을 제외하고 모든 전형의 인원이 변했습니다. 종합전형과 정시모집에서 감소된 인원이 교과지역이 아니라 교과일반으로 더 많이 선발됩니다. 전북대는 반대로 교과일반이 5명 감소하고 교과지역이 5명 증가하면서 지역인재 비율이 늘었습니다. 충남대는 정시 일반에서 5명을 감소시켜서 종합 일반으로 5명을 늘렸습니다. 신설된 학종서류전형의 인원은 정시모집에서 ..

지난 3월 23일(목)에 실시된 3월 교육청 모의고사 채점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전체 응시자 분석 올해 고3은 아래 그래프와 같이 역대급으로 적은 학생수를 기록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발표된 3월 교육청 모의고사 응시자수는 작년 3월 모의고사 응시자보다 많습니다. 응시 학교수를 보면 작년 1,889개교에서 올해 1,916개교로 증가한 것을 보니 작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모의고사를 보지 않은 학교가 많았던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분석 자료에서는 인원수보다 비율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국어, 수학 선택과목별 응시자 변화 국어는 언어와매체의 선택 비율이 37.6%로 작년 3월 모의고사보다 2.9%p가 증가했습니다. 작년과 재작년 기준으로 보면 3월 교육청 모의고사 때의 언매 비율에 비해 수..

경찰대는 일반전형의 원서접수 시작을 1개월 남겨둔 4월17일(월) 2024학년도 모집요강을 발표했습니다. 작년에도 비슷한 시기에 발표했는데, 특별전형의 원서접수가 5월8일(월) 시작되기 때문에 너무 촉박하게 발표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경찰대는 작년 모집요강에서 체력검사를 순환 체력검사로 변경하겠다는 예고를 하더니 이번 모집요강에 수행방법이나 기준을 발표했습니다. 경찰대에 관심이 있다면 내용을 정확히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작년에 또 한가지 예고했던 수능 한국사 최저학력기준제를 적용해서 4등급 이하는 불합격이 되고 1~3등급까지는 -1점까지 감점이 됩니다. 순환식 체력검사(합/불) 2023학년도 모집요강에서 예고했던 방식으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50m 달리기, 20m 왕복 오래달리..

충남대 의대, 약대, 수의대는 모집단위별, 전형별로 수능최저기준의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의대는 국어, 수학(미적분 또는 기하), 영어, 과탐(2과목평균) 중에서 수학을 필수로 포함하여 학생부교과(일반)와 지역인재는 3합4, 학생부종합은 3합5를 충족해야합니다. 약대는 수학(미적분 또는 기하), 영어, 과탐(2과목평균)의 등급합이 학생부교과는 5, 학생부종합은 6을 충족해야하고 수의대는 같은 영역 조건의 등급합이 학생부교과는 6, 학생부종합은 7을 충족해야합다. 의대가 약대보다 1등급 높은 것 같지만 국어까지 포함하여 충족을 해야하기 때문에 아주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약대는 3합5의 조건이지만 국어를 제외하고 수영과로만 충족을 해야하는데 과탐이 2과목 평균이라 다른 약대와 비교하면 꽤 어려운 조건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