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전형별 모집인원
- 2025 정시
- 약대 학생부종합
- 최저기준충족
- 정시모집군
- 대교협 발표
- 입시결과
- 약대 변경사항
- 약대 수시모집
- 대입시행계획
- 2025 논술
- 학업우수형
- 2024약대
- 잔향뱔
- 약대 반영비율
- 2024 약대
- 계열적합형
- 2025 대교협
- 약대변경사항
- 2025 대입
- 약대 학생부교과
- 약대 모집인원
- 학교추천
- 약대 지역인재
- 2025 모집인원
- 2025 수시
- 70%컷
- 약대 수능최저기준
- 약대 정시모집
- 약대 논술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8)
장문성의 입시이야기

대교협이 2025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을 발표했습니다. 4월말까지 모든 대학은 2025학년도 대입시행계획을 홈페이지에 공고하기 전 대교협은 전체 대학의 2025학년도 입시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발표합니다. 2탄에서는 수시모집 전형별 인원과 논술고사 선발 인원의 변화를 정리했습니다. 특히 고려대는 2018학년도부터 폐지했던 논술전형이 부활합니다. 상위 15개 대학 중에서 서울대와 고려대는 논술전형 없이 학생을 선발했는데 8년 만에 부활하는 고려대의 논술전형이 가장 큰 이슈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수시모집 전형별 인원 수도권의 경우 학생부종합전형은 400명 감소하고 학생부교과전형은 672명이나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고려대의 논술전형 부활로 수도권 논술전형 인원도 305명이나 증가했습니다. 수도권의 수시모..

대교협이 2025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을 발표했습니다. 4월말까지 모든 대학은 2025학년도 대입시행계획을 홈페이지에 공고하기 전 대교협은 전체 대학의 2025학년도 입시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발표합니다. 1탄에서는 전체적인 인원의 변화를 정리했습니다. 특히 고려대는 2018학년도부터 폐지했던 논술전형이 부활합니다. 상위 15개 대학 중에서 서울대와 고려대는 논술전형 없이 학생을 선발했는데 8년 만에 부활하는 고려대의 논술전형이 가장 큰 이슈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수시모집과 정시모집 비율 대교협이 발표한 자료에는 2025학년도와 2024학년도 모집인원이 정리되어 있지만 분석할 때는 3년 정도의 자료는 비교해야 하므로 2023학년도 자료까지 정리했습니다. 2018학년도에 수시모집 비율이 70%를 ..

수시모집 전형의 변화 우선 가장 큰 변화는 고려대(세종)입니다. 고려대(세종)은 학생부교과전형을 폐지하고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일반과 지역인재를 모두 선발합니다. 충남대는 기존의 PRISM전형을 종합(일반)으로 변경하고 종합(서류)를 신설하였으나 서류100%로 선발하는 약학과 인원은 겨우 2명입니다. 이렇게 전형을 여러 개로 쪼개다 보니 모집인원이 너무 적어져서 합격선을 예측하기가 더 어려워졌습니다. 계명대는 약학과와 제약학과로 구분해서 모집하던 것을 약학부로 통합하여 모집합니다. 정시모집에서는 제약학과 가군, 약학과 다군이었는데, 통합하여 다군에서 선발하게 됩니다. 충남대와는 달리 전형별 모집인원이 많아졌습니다. 수시모집 수능최저기준의 변화 약대 수시모집에서 수능최저기준은 합격선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

수시모집 전형의 변화 가장 큰 변화는 차의과학대로 학생부종합전형을 폐지하고 기존의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인원을 분산하여 선발합니다. 이화여대는 논술전형에 약대를 신설하였으며 수능최저기준은 미래인재전형과 같은 4합5(1)이 적용됩니다. 동덕여대는 학생부종합전형인 동덕창의리더전형으로 8명을 모집하는데 학종이지만 국수과(1)합6의 수능최저기준을 적용합니다. 수시모집 수능최저기준의 변화 약대 수시모집에서 수능최저기준은 합격선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됩니다. 아래에 수능최저기준의 변화만 정리했습니다. 2023학년도에 발표된 입시결과를 보면 3합7이나 3합8의 수능최저기준은 영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야 하지만 3합6이나 3합5 정도여도지역에 따라서는 영향력을 행사하는 대학도 있으니 수능최저기준의 변화는 ..

표로 알아보는 전형별 모집인원 2024학년도에 전국 37개 약대에서는 수시모집으로 1,007명(57.7%), 정시모집으로 738명(42.3%)을 모집한다. 2022학년도에 학부 모집을 시작했을 때 수시모집은 960명(55.1%), 정시모집은 783명(44.9%)을 뽑았던 것과 비교하면 정시모집 비율이 감소한 것입니다. 수시모집을 세분화해서 들여다 보면 학생부종합전형 403명(23.1%), 학생부교과전형 523명(30.0%), 논술전형 81명(4.6%)을 선발합니다. 각각의 전형으로 비교하면 정시모집의 선발 비율은 여전히 높은 편입니다. 더구나 수시모집에서 뽑지 못한 인원을 이월시키면 정시 모집인원은 조금 더 많아지게 됩니다. 의치한약수 분야를 지원하고 싶다면 수능을 포기하는 것보다 정시모집까지 최선을..

단과대학별 입시결과 고려대가 발표하는 입시결과 중에 단과대별 입시결과가 있습니다. 일부는 1개 모집단위만 있는 경우도 있지만 문과대학이나 정경대학, 공과대학, 이과대학 등은 여러 학과들의 통합 결과이기 때문에 대략적인 수준 파악에 도움되는 정보입니다. 위의 자료 중 평균등급은 어제 발표된 고려대 설명회 자료에서 정리한 것입니다. 고려대가 입학설명회에서 공개하는 단과대학별 평균등급 그래프로는 최고값과 최저값의 범위를 알 수 있고 전체 합격자 중에서 25%~75%가 분포하는 범위는 사각형의 박스로 표시해 주어서 어느 정도 범위가 되어야 합격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박스 안에 선은 중간값이고, 다이아몬드기호는 평균값을 의미한다고 설명을 했다. 고려대 수시모집은 최근 3년간 수능최저기준의 변화를 주고 ..

2023학년도와 2024학년도의 전형별 인원은 일반전형과 지역인재전형으로 구분하였습니다. 강원대는 2023학년도에 선발했던 정시모집 지역인재를 폐지하고 학생부종합 서류형을 신설하여 4명을 선발합니다. 수능 일반전형은 2명이 감소했고, 교과 일반전형도 3명 감소했습니다. 대신 교과 지역은 4명이 증가하였으며 전형별로는 가장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경북대도 논술을 제외하고 모든 전형의 인원이 변했습니다. 종합전형과 정시모집에서 감소된 인원이 교과지역이 아니라 교과일반으로 더 많이 선발됩니다. 전북대는 반대로 교과일반이 5명 감소하고 교과지역이 5명 증가하면서 지역인재 비율이 늘었습니다. 충남대는 정시 일반에서 5명을 감소시켜서 종합 일반으로 5명을 늘렸습니다. 신설된 학종서류전형의 인원은 정시모집에서 ..

지난 3월 23일(목)에 실시된 3월 교육청 모의고사 채점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전체 응시자 분석 올해 고3은 아래 그래프와 같이 역대급으로 적은 학생수를 기록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발표된 3월 교육청 모의고사 응시자수는 작년 3월 모의고사 응시자보다 많습니다. 응시 학교수를 보면 작년 1,889개교에서 올해 1,916개교로 증가한 것을 보니 작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모의고사를 보지 않은 학교가 많았던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분석 자료에서는 인원수보다 비율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국어, 수학 선택과목별 응시자 변화 국어는 언어와매체의 선택 비율이 37.6%로 작년 3월 모의고사보다 2.9%p가 증가했습니다. 작년과 재작년 기준으로 보면 3월 교육청 모의고사 때의 언매 비율에 비해 수..